
국내 편도암 환자 발생 증가세는 꺾였지만 설암은 오히려 가팔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는 희귀암센터 두경부종양클리닉 정유석 이비인후과장(갑상선암센터장)과 이비인후과 석준걸 전문의, 중앙암등록본부 정규원 수석연구원이 지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중앙암등록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목젖 양쪽에 있는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편도암은 지난 1999년부터 연평균 6.77%씩 증가했다. 그러나 2011년을 기점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10만명당 0.5명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편도암 주요 원인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젊은층에서 편도암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해 오다 최근 증가세가 안정되고 있다.
젊은층에서 편도암 발생률은 정체됐지만 고령층에서는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40~50대는 연평균 8.1% 증가하다 2008년 이후 안정화됐지만 60대 이상에서는 연평균 6.2%씩 증가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6년 시작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국가예방접종사업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연구진은 국제적 흐름과 유사하다고 했다. 서구 사회도 젊은층에서는 편도암 발생률이 점차 안정화되는 반면 고령층에서는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구강암 발생률은 높아졌다. 1.56%이던 구강암 발생률은 2006년 이후 2.82%로 증가했다. 연구진은 설암 발생이 증가한 탓이라고 했다.
혀에 생기는 암인 설암은 지난 1999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특히 20~30대에서 연평균 7.7%씩 증가했다. 하지만 설암을 제외한 다른 구강암은 60대 이상에서만 2.0% 증가했을 뿐 다른 연령대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해외에서도 전반적인 구강암 발생률은 감소한 반면 설암 발생률은 오히려 증가했다. 설암을 비롯한 구강암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흡연이 꼽히며 이외 음주, 방사선, 식습관, 유전적 감수성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Cancer 2월호에 게재됐다.
기사 및 더 읽기 ( 국내 편도암 발생 정체, 설암은 증가 - 청년의사 )https://ift.tt/31vONO1
건강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국내 편도암 발생 정체, 설암은 증가 - 청년의사"
Post a Comment